정성윤
Jung Sungyoon
b.1973
한국 South Korea, South Korea, Lives and works in Paju
두 개의 타원 Two Ellipses
2022. 모터, 스테인레스 스틸, 철, 합성수지, 150×150×30cm.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제작 지원
2022. motor, stainless steel, iron, synthetic resin, 150×150×30cm. Commissioned by ACC
<두 개의 타원>은 하나의 원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움직이는 기계장치로 인해 두 개의 타원이 조금씩 돌아가며 계속 변화합니다. 이 작품은 실제와 다르게 인지하는 인간의 부정확성을 고찰합니다. 긴 지름 150cm, 짧은 지름 145cm의 정원(正圓)에 가까운 이 미묘한 타원은 각각의 회전으로 인하여 하나의 완벽한 원에 근접해지지만, 사실 원의 경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끊임없이 불규칙한 율동으로 구불거리는 윤곽선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두 개의 타원이 마치 하나의 몸처럼 맞닿아 움직이지만 미묘한 엇갈림을 통해 비정형적이고 불투명한 막을 형성하며 마치 깊이를 알 수 없는 인간의 마음 속과 같은 공간성을 보여줍니다. 개기일식처럼 있다가도 없어지는, 그러나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순간과 존재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몰입과 명상의 세계로 안내하며 인간의 욕망과 믿음이 어떠한 방식으로 확장되고 종말 하는지 느끼게 합니다. 자세히 보면 보이지 않는 것들이 보이는 법입니다. 방석에 앉아 잠시 집중하고 사색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Two Ellipses> look like one circle. But if you look closely, the two ellipses rotate a little bit and continue to change due to the moving mechanism. This work examines human inaccuracies that are perceived differently from reality. This subtle ellipse, close to a circle of 150cm in long diameter and 145cm in short diameter, gets closer to one perfect circle because of each rotation, but if you look closely at the boundary of the circle, you can see that the curve is formed by the constant irregular rhythm. The two ellipses move together as if they were one body, but they form an atypical and opaque film through subtle crossings, showing the spatiality of the human mind as if the depth were unknown. It shows the moment and existence that disappear shortly after, like a total eclipse, but does not disappear completely. Through this, we entered the worlds of immersion and meditation. It makes us feel how human desires and beliefs expand and meet their ends. Looking at something closely makes you see things that you couldn’t see before. Sit on the cushion and take a moment to concentrate and contemplate.
작가설명 Artist Biography
정성윤의 작업은 고안된 기계장치와 조형을 통해 욕망과 믿음의 시작, 그리고 그것이 확장되어 종말 하는 순환의 경로를 그려 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이 가진 정체성 상실의 트라우마를 관조하게 한다. 작가는 역설적인 기계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이러한 순환체계가 표상되는 조건을 형상화하고 있다. 주요 전시로는 개인전 《포도의 맛》 페리지갤러리(2022), 《사소한 위협》 김종영미술관(2016), 《이클립스》(2014)를 비롯하여 단체전 《TRIPLE RINGS; 복각본들, 어제 글피로부터》 문화역 서울 284(2021), 《Emotion in Motion》 부산현대미술관(2020), 《웹-레트로》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2019) 등에 참여하였다. 작가는 서울시립미술관 SeMA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김종영미술관의 창작 지원 작가 프로그램과 2013년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입주 작가로 참여했다.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아르코 미술관, 국립서울과학기술대학교 등 다수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Jung Sungyoon is an installation artist who lives and works in Paju, South Korea. He contemplates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human identity through sculpture and installation work using mechanical devices. Using mechanical mechanisms in repetition, he visualizes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human desires and beliefs form, expand, and end to ultimately understand the trauma of losing human identity. Through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mechanical device, the artist materializes conditions to symbolize the cycle. The artist’s notable exhibitions include 《Grape Flavor_A mucous membrane》 (Perigee Gallery, Seoul, 2022), 《TRIPLE RINGS; Replicas from the yesterday, tomorrow》 (Culture Station 284, Seoul, 2021), 《Emotion in Motion》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2020), 《Web-Retro》 (Buk-Seoul Museum of Art, 2019), and 《UFEROPEN》 (Uferhallen, Berlin, 2018). He also participated in residency programs at MMCA Goyang Residency (2017) and SeMA Nanji Residency (2013). The artists’ work is included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Seoul Museum of Art (SeMA), Arko Art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thers.